본문 바로가기

영화와 책 리뷰/국내영화

영화 남한산성 리뷰

명분과 대의보단 백성과 함께 살아남아야 한다는 최명길과 대의를 저버린 삶은 죽음과 같다는 김상헌

넷플릭스에서 이제야 남한산성을 보았다. 

이병헌. 김윤석, 박해일, 고수 등 주연부터 조연까지 유명한 배우들이 대거 나오는 수작이라는 애기는 들었었다.

영화는 기대에 충족하여 정말 잘 만든 작품이라는 인상을 남겼다.

 

배우들의 몰입감 높은 연기력, 분위기를 잘 살린 연출 그리고 류이치 사카모토의 훌륭한 음악까지 더해져 충분히 영화에 젖어들어 감상할 수 있었다. (사카모토가 참여한 처음이자 마지막이 되어버린 한국 작품 ㅠ)

 

인조 때 병자호란을 다룬 영화인데 척화파였던 김상헌과 주화파였던 최명길의 두 대립적인 캐릭터를 중심으로 당시 남한산성 내에서 오고갔던 대의와 실리에 대한 논쟁과 그 시간 동안 수없이 죽고 끌려가며 추위와 배고픔에 고생한 백성들의 슬픈 역사를 그려내고 있다. 

 

심한 동상에 걸려가며 추위와 배고픔에 고생하는 군병들

간신이라느니 첩자라느니 온갖 욕을 다 들어가면서도 백성과 왕을 살리기 위해 충신으로서 노력하는 최명길의 역할을 역시 너무나 잘 소화한 이병헌... "죽음은 견딜 수 없고 치욕은 견딜 수 있사옵니다"

 

"삶이 있은 후에야 비로소 대의와 명분도 있는 것이 아니 옵니까."

다른 꽉 막힌 사대주의 관료들이랑은 조금은 다르게 표현된, 조금은 이해가 가는 명분과 대의를 고집하는 김상헌 역할을 한 김윤석... "정녕 명길이 말하는 것이 전하가 살아서 걸어가시고자 하는 길이옵니까.
명길이 말하는 삶은 곧 죽음이옵니다. 신은 차라리 가벼운 죽음으로 죽음보다 더 무거운 삶을 지탱하려하옵니다.

"죽음에도 아름다운 자리가 있을진대, 하필 적의 아가리 속이겠습니까."

김상헌 역할은 김윤석이 맡으면서 조금은 미화가 되지 않았을까 싶기도 했던...ㅎ 영화의 처음 부분인 뱃사공 할아버지를 죽이는 모습에도 볼 수 있듯이 백성의 당장의 삶보다는 대의가 중요했던 사람, 하지만 왕에게는 왕의 대의를 충성스럽게 지지하는 이 또한 충신이기에 이 점에 초점을 맞춘 것 같다.

 

원작이 김훈 작가의 동명 소설이라던데, 그래서 그런지 대사의 깊이나 울림이 굉장했던 것 같다.

한편으론 외세의 잦은 침략에 아무래도 힘든데 내세의 이런 분열 때문에 그 피해는 오롯이 다 받아야 했던 조선 백성들이 너무 불쌍하여 답답하기도 했었던...

"나는 조선에서 노비로 태어났소. 노비는 사람이 아니오. 나를 다시는 조선 사람이라 부르지 마시오!"

적당히 무능하고 고뇌하는 역할의 인조 역을 맡은 박해일 배우도 표정 연기만으로 인조를 정말 잘 표현해 냈다. 

삼전도의 굴욕 장면에서는 박해일의 연기 그리고 뒤에서 울먹이는 이병헌을 보고 있자니 눈물이 흐를 만큼 몰입감이 있었다.

청나라 황제에게 머리를 땅에 조아리며 치욕적으로 삼배를 하고 있는 인조
인조의 치욕을 지켜보며 서러워 우는 병헌이형...

그리고 이시백 장군 역할을 한 박희순 배우도 인상에 남았다.

고생하는 백성을 대표하는 주요 캐릭터였던 대장장이 출신 군병인 고수는 다른 캐릭터에 비해 인상에 그렇게 남을 만하지 못했던 것 같다. 고수도 연기 잘하는데 아쉽.

병자호란 이후의 시간을 담은 또 다른 사극 영화 "올빼미"도 봐야겠다.

여튼 정말 수작이라 생각이 들었던 영화 남한산성.

'영화와 책 리뷰 > 국내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콘크리트 유토피아 리뷰  (2) 2023.09.03